자료구조
스택(stack)의 활용, 후위수식(후위 표기식)
cho22
2016. 11. 2. 19:36
반응형
1. 후위수식(후위 표기식)
연산자를 피연산자의 뒤에 놓는 표기법이다.
사진은 구글에서 가져왔다... 사진을 바탕으로 설명해보자면..
8 2 / 3 - 라는 식이 있다.
수식을 왼쪽에서부터 읽으면서 스택에 저장한다.
8 2 를 저장한후 /를 만나면 8 / 2의 연산을 실행하고, 결과값인 4를 스택에 저장한다.
4가 들어있는 스택에 3을 삽입하고 -를 만나면 다시 4 - 3을 계산하고 결과값인 1을 스택에 저장한다.
식이 끝나고 스택에 남아있는 1이 결과값이다.
- 후위표기법의 장점
1)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도 계산해야할 순서를 알 수 있다.
2)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생각할 필요가 없다. 식 자체에 우선순위가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.
3) 수식을 읽으면서 바로 계산할 수 있다. (중위 표현식은 괄호와 연산자의 우선순위 때문에 수식을 끝까지 읽은 다음에야 계산이 가능하다.)
2. 후위수식 계산
- 전체 수식을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스캔한다.
- 스캔 과정에서 피연산자가 나오면 무조건 스택에 저장하고,
연산자가 나오면 스택에서 피 연산자 두개를 꺼내 연산을 실행하고,
결과를 다시 스택에 저장한다.
- 마지막에는 최종 계산결과만 스택에 남는다.
3. 후위수식 계산 프로그램
- 후위수식 계산과정을 바탕으로 직접 만들어본 후위수식 계산 프로그램이다.
반응형